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관포지교(管鮑之交)/광일미구(曠日彌久)

by 행복한 엔젤 2018. 1. 15.
728x90
반응형

관포지교(管鮑之交)/광일미구(曠日彌久)


 

 

관포지교(管鮑之交)

管: 대롱 관,  鮑: 절인 고기 포, 之: 갈 지, 交: 사귈 교

 

관중과 포숙아와 같은 사귐이라는 뜻으로 세상사를 떠나 친구를 위하는 두터운 우정

 

춘추시대, 제나라에 관중과 포숙아라는 두 관리가 있었다. 이들은 죽마고우로 둘도 없는 친구사이였다. 관중과 포숙아는 서로 군위를 다투고 있던 규와 소백의 측근으로 있어서, 본의 아니게 정적 관계가 되었다.

 

후에 소백이 정권을 잡고 환공이라 일컬으면서, 규의 처형과 아울러 관중을 잡아왔다. 환공이 잡아온 관중을 죽이려 하자 포숙아는 이렇게 진언했다.

 

"전하, 한 나라만 다스리는 것으로 만족하신다면 저만으로도 충분할 것입니다. 하지만 천하를 다스리는 군주가 되고자 하신다면 관중을 기용하십시오."

 

도량이 넓고 식견이 높았던 환공은 신뢰하는 포숙아의 진언을 받아 들여 관중을 대부(大夫)로 기용하고 나라 일을 밭겼다.

 

관중은 재상이 된 후 대정치가다운 수완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경제를 안정시키고 선정을 베풀어, 마침내 환공을 춘추의 첫 군주로 군림할 수 있게 하였다.

 

관중의 정치적인 성공은 환공의 관용과 재능이 한데 어우러진 결과였지만 그 출발은 역시 관중에 대한 포숙아의 돈독한 우정에 있었다. 그래서 관중은 훗날 포숙아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이렇게 이야기했다.

 

 

"나는 젊어서 포숙아와 장사를 한 적이 있다. 이익금은 늘 내가 더 많이 차지했다. 그러나 포숙아는 내게 욕심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가 가난하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 사업이 실패하여 그를 궁지에 빠뜨린 일이 있었지만 그는 나를 어리석고 변변치 못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일에는 성패(成敗)가 있다는 걸 알고 있었던 것이다. 나는 또 몇 번이나 벼슬길에 나갔지만 그 때마다 물러나곤 했다. 그럴 때도 그는 나를 무능하다고 하지 않았다. 내게 운이 따르고 있지 않았다고만 생각했다. 어디 그뿐인가. 나는 전쟁터에서도 여러 번 도망쳤지만 그는 나를 겁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게는 모셔야 할 늙은 어머니가 계시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무튼 '나를 낳아준 분은 부모지만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이다."

 

 

광일미구(曠日彌久) 

曠: 빌 광, 日: 날 일, 彌: 많을 미, 久: 오랠 구

 

오랫동안 쓸데없이 세월만 보낸다.

 

전국시대 말엽, 조나라 혜문왕때의 일이다. 조나라가 연나라의 공격을 받자, 혜문왕은 제나라에 사신을 보내 3개 성읍을 떼어줄 테니 제나라의 장수 전단을 보내줄 것을 청했다.

 

전단은 일찍이 연나라의 침략군을 물리친 명장인데, 조나라의 요청에 따라 총사령관이 된 인물이었다. 혜문왕이 전단을 보내달라고 했다는 말을 들은 조나라의 명장 조사는 재상 평원군에게 항의하고 나섰다.

 

 

"아니, 조나라엔 사람이 없습니까? 제게 맡겨 주신다면 당장 적을 격파하겠습니다."

 

평원군이 그럴 수 없다고 했으나 조사는 물러서지 않았다.

 

"제나라와 연나라는 원수 간이긴 합니다만 전단은 우리 조나라를 위해서 싸우지는 않을 것입니다. 조나라가 강해지면 천하를 다스리려는 야망을 가진 제나라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전단은 싸움을 빨리 끝내지 않고 '오랫동안 쓸데없이 세월만 보낼 것입니다曠日彌久.' 그리하여 두 나라가 병력을 소모하여 피폐해지는 것을 기다릴 것입니다."

 

평원군은 조사의 의견을 묵살한 채, 전단에게 조나라 군사를 맡겨 연나라 침공군과 싸우게 했다. 결과는 조사가 예언한 대로였다. 장기전이 되면서 두 나라의 병력만 소모했던 것이다.

 

[출처=누구나 한번쯤 읽어야 할 고사성어]

 

 

반응형

댓글